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 (Linux, CentOS 7) 용량 확장하기 (lvm)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Root 파티션 용량 확장(증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용량 증설하기 (Root 폴더 확장) 환경 VMware Linux CentOS 7 용어 Physical Volume(물리적 볼륨) : /dev/sda1, /dev/sda2 등의 파티션 Volume Group (볼륨 그룹) : Physical Volume(물리적 볼륨)을 합쳐서 1개의 그룹으로 만드는 것 Logical Volume (논리적 볼륨) : Volume Group(볼륨 그룹)을 논리적으로 나눈 것 확장 순서 VMware Disk 용량 증설 → 물리 파티션 용량 추가 → 볼륨 그룹 용량 증설 → 논리 파티션 증설 작업 Root 폴더의 용량이 부족해 해당 폴더를 증설할 예정입니다. 1. 용량확인. 현재의 용량 상.. 2021. 1. 11.
MS SQL Server 설치하기 (SQL Server 2019, SSMS) Microsoft SQL Server 및 SSMS(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설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SQL 관련 다른 글 보러가기 ::: 2020.12.15 - [IT Knowledge/Server] - MS SQL 데이터베이스 백업/관리 2021.01.04 - [IT Trouble Shooting] - MS SQL Server SSMS 연결오류, 물음표 아이콘 2020.12.18 - [IT Trouble Shooting] - MS SQL Database, SQLNCLI11 분산 트랜잭션 오류 2020.11.30 - [IT Knowledge/Server] - SQL Alwayson 가용성 그룹 구성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데이터베이스 복제/백업) MS SQL Se.. 2020. 12. 29.
MS SQL 데이터베이스 백업/관리 데이터베이스 운영 관련, 백업은 꼭 필요한 요소 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데이터베이스 백업 전용 솔루션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솔루션을 이용한 백업이 아닌 로컬 디스크에 저장하는 기본 백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방법은 Microsoft SQL Server에서 제공하는 기본 기능입니다. SQL Database Backup 백업을 설정하기 전에 남은 용량을 감안해서 백업 주기, 백업 데이터 보관 기간 등을 고려해야합니다. 용량이 부족한만큼 인해 일부 데이터베이스는 백업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매일 1회 백업, 보관 기간은 1일로 설정해보겠습니다. 다음날 새로운 백업이 생성되고, 기존의 1일이 경과한 백업 데이터는 사라집니다. 1. Maintenance Plan 생성. SSMS를 통해 SQL 서버에.. 2020. 12. 15.
서버 네트워크 모니터링 툴 - Zabbix 5.0 (CentOS 7) 인프라 담당자에게는 서버/네트워크 모니터링도 중요한 업무 중에 하나입니다. 이러한 모니터링을 위해 시중에 다양한 제품들이 있고 손이 많이가지만 무료로 구성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의 툴들도 굉장히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Nagios, Cacti, Zabbix 등.. 이 있는데요, 오늘은 그 중 Zabbix(자빅스)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음편::: 2021.03.23 - [IT Knowledge/Server] - Zabbix 구성 (1) - Host 등록 (Zabbix 5.0, CentOS 7) Zabbix 5.0 설치 (CentOS 7) Zabbix 서버는 Linux 기반에서 동작하며,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호스트 서버들은 Linux, Windows 모두 가능합니다. 먼저, Zabbix 공식.. 2020. 12. 9.
SQL Alwayson 가용성 그룹 구성 (데이터베이스 이중화, 데이터베이스 복제/백업)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선 SQL Alwayson 기능을 통해 HA(High Availability)를 구성해보겠습니다. 먼저 Alwayson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SQL Alwayson 개념 Alwayson은 MS SQL Server 2012부터 도입된 Enterprise용 고가용성 솔루션입니다. 가용성 그룹 구성을 통해 주 서버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들을 보조 서버에서 복제본을 생성하고 변경 사항에 대해 실시간 동기화하며, 이 기능을 통해서 고가용성 (HA, High Availability) 및 재해복구(DR, Disaster Reocovery)에 대해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동작 하는 방식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1. 주 서버(SVR#1)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용성 그룹에 추가 2. 보.. 2020. 11. 30.
VMware - VM을 손쉽게, 빠르게 만들어보자 (sysprep, VM template, Library) (2) 지난 글에서 특정 VM을 템플릿으로 변환하고, 라이브러리에 등록시킴으로써 VM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였습니다. 이전글 2020/11/25 - [IT/IT Knowledge] - VMware - 가상머신(VM) 생성 및 Windows Server OS 설치 2020/11/26 - [IT/IT Knowledge] - VMware - VM을 손쉽게, 빠르게 만들어보자 (sysprep, VM template, Library) (1) 이번에는 그 환경을 이용해 신규 VM을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템플릿을 이용한 VM 생성 마찬가지로 신규 VM을 설치할만한 리소스가 있는 적당한 호스트 서버를 선정합니다. 1. VM 생성 마법사 시작. 호스트 서버 우클릭 > [새 가상 시스템...]을 통해 VM.. 2020.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