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운영체제 내, 아이피 주소 (IP) 및 맥 주소(MAC) 확인 방법
내 컴퓨터 아이피(IP), 맥(MAC), 공인 IP 확인하기 (CMD, 명령 프롬프트)
A. 아이피(IP)란?
- IP(Internet Protocal)는 네트워크의 L3 계층에서 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갖는 주소
-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고유한 식별 값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동일한 IP가 존재할 수 있음)
ex) 192.168.0.1
B. 맥(MAC)이란?
- MAC(MAC Acess Control)은 네트워크의 L2 계층에서 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갖는 주소
- MAC 주소는 NIC(네트워크 카드)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 값으로 전 세계에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값
ex) aa:bb:cc:dd:ee:ff
1. 명령 프롬프트 (cmd)
'cmd' 검색 > '명령 프롬프트' 실행
2. 아이피(IP) 확인
명령어 : ipconfig
'IPv4 주소' = IP Address
** 랜선(LAN) 사용 시,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에 IP 정보 표기
** 무선(Wi-Fi) 사용 시, '무선 LAN 어댑터 Wi-Fi'에 IP 정보 표기
3. 맥(MAC) 확인
명령어 : ipconfig /all
'물리적 주소' = MAC Address
** 2번 부가 설명에 따라,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인터페이스 확인
4. 공인 IP 확인
사내 환경(사설 IP) <ㅡ> 외부 환경(공인 IP) : 외부와 통신하는 경우, 공인 IP로 변환하여 통신
**사설 네트워크(사설 IP)는 사내에서만 유효하며, 외부의 다른 장비의 경우 인식 불가
'네이버' > '내 IP' 검색 : 인터넷 구간에서 내 장치의 주소로 인식하고 있는 IP Address
'IT Knowledg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co Switch 초기화 (시스코 스위치 공장 초기화) (0) | 2023.01.03 |
---|---|
시스코 스위치 TACACS 설정 (Cisco Switch TACACS Config) (0) | 2022.09.01 |
스위치 포트 추적하기 (4) | 2021.01.06 |
NIC Teaming - 네트워크 이중화 구성하기 (0) | 2020.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