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서버 RPM 설치 (Linux YUM 설치 명령어) Linux(리눅스) 서버에서 .rpm 파일을 통한 패키지 설치 방법 리눅스 서버 RPM 설치 (Linux YUM 설치 명령어) 0. .rpm 파일 리눅스 서버 저장 가지고 있는 .rpm 파일을 리눅스 서버로 넣는 방법 아래 링크 참고 2021.07.21 - [IT Knowledge/Server] - 리눅스 파일 복사/이동/다운로드 하기 (WinSCP SFTP 사용법) 리눅스 파일 복사/이동/다운로드 하기 (WinSCP SFTP 사용법) 이번에는 리눅스 서버 내에 있는 파일을 관리하거나 윈도우 시스템과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좀 더 쉽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파일 관리 쉽게 하기 (다운로드, 업로드, 복사, jsson.tistory.com 1. 리눅스 서버 연결 및 rpm 파일 확인 Put.. 2023. 7. 13. 리눅스 서버 방화벽 관련 명령어 (포트 확인/오픈/차단) 리눅스 서버 방화벽 관련 명령어 환경 : CentOS 8 방화벽 작업 관련 명령어 정리, 필요시 계속 업데이트 예정 방화벽 동작 여부 확인 (방화벽 상태) firewall-cmd --state 방화벽 활성 Zone 확인 firewall-cmd --get-active-zone 방화벽 기본 Zone 확인 firewall-cmd --get-default-zone 방화벽 활성 서비스 및 포트 확인 (Zone 기준)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방화벽 포트 추가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PortNumber/tcp --permanent ** 방화벽 포트 추가/삭제는 방화벽 서비스 재시작 후, 적용 됨 방화벽 포트 삭제 firewall.. 2022. 1. 19. Zabbix 캐시 메모리 부족, 확장하기 (Zabbix low memory mode) Zabbix 캐시 메모리 부족 해결하기 증상 Zabbix 서버 캐시 메모리 부족 Zabbix value cache working in low memory mode 원인 서버 구성 시, 캐시 메모리에 대해 별도로 구성하지 않았다면 기본 값이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서버에 콘솔로 접속하여 캐시메모리 구성을 확인합니다. 1. 서버 접속. Putty를 통해 SSH 방식으로 서버에 접속합니다. 2. 구성 확인. 서버 구성 파일이 위한 경로로 이동하여, vi 편집기를 이용해 확인합니다. 쭉쭉 내리다보면 아래 항목이 보이고, 주석처리(#)가 되어 있어 별도 구성이 되어있지 않는 것이 보입니다. cd /etc/zabbix vi zabbix_server.conf ### Option: CacheSize # CacheSi.. 2021. 10. 27. Zabbix 접속 불가, 서비스 오류 점검 (페이지 접속 불가) 잘 사용하고 있는 자빅스가 동작하지 않고 있습니다. 어쩐지 며칠 째 알림을 못 받아서 점검 차 접속해보니 페이지에 접속이 불가능 한 상태입니다. 자빅스 데이터베이스 오류 (Zabbix Database error, No such file or directory) 증상 Zabbix 시스템 접속 시, 'Database error', 'No such file or directory', 'Connection refused' 화면과 함께 접속 불가 원인 원인 확인을 위해 로그를 확인합니다. (Zabbix_server.log) 1. 서버 접속(putty). Putty를 통해 서버 IP를 입력하고, 콘솔 접속합니다. 이후 로그가 있는 경로를 확인합니다. (zabbix_server.log) cd /var/log/zabb.. 2021. 10. 25. 리눅스 (Linux, CentOS 7) 용량 확장하기 (lvm)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Root 파티션 용량 확장(증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용량 증설하기 (Root 폴더 확장) 환경 VMware Linux CentOS 7 용어 Physical Volume(물리적 볼륨) : /dev/sda1, /dev/sda2 등의 파티션 Volume Group (볼륨 그룹) : Physical Volume(물리적 볼륨)을 합쳐서 1개의 그룹으로 만드는 것 Logical Volume (논리적 볼륨) : Volume Group(볼륨 그룹)을 논리적으로 나눈 것 확장 순서 VMware Disk 용량 증설 → 물리 파티션 용량 추가 → 볼륨 그룹 용량 증설 → 논리 파티션 증설 작업 Root 폴더의 용량이 부족해 해당 폴더를 증설할 예정입니다. 1. 용량확인. 현재의 용량 상.. 2021. 1. 11. 이전 1 다음 반응형